김인환 사무총장, 제주 스마트 이-밸리 포럼서 “포용과 참여가 기본전제”

IMG_2154.JPG
▲ 17일 열린 제3차 제주 스마트 이-밸리 포럼에서 김인환 디코리아 재단 사무총장이 발표하고 있다. ⓒ 제주의소리
김인환 디코리아 재단 사무총장이 제주가 더 이상 시범사업 지역으로 그칠게 아니라 주도적으로 ‘스마트시티’로의 여정에 뛰어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총장은 17일 오전 호텔난타 제주에서 열린 제3차 제주 스마트 이-밸리(Smart e-Vally ) 포럼에서 포용과 참여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시티를 제주의 새로운 청사진으로 제시했다.

제주지식산업진흥원장을 역임한 김 총장은 스마트시티, 빅데이터, 적정기술 등 최신 ICT 전문가로 현재 서울대 아시아에너지환경지속가능연구소 객원연구원과 단국대 정보지식대학원 초빙교수로 재임 중이다.

이날 김 총장이 화두로 꺼낸 ‘스마트시티’는 사람중심 과학기술로 시민의 삶의 질과 관련된 문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말한다. 현재 추진 중인 세종 스마트시티는 ‘자율주행과 공유기반 스마트 교통으로 출퇴근이 짧은 도시’, ‘응급치료가 신속한 헬스케어 도시’, ‘창의적 비판적 사고를 에듀테크로 확장하는 교육중심 도시’ 등을 비전으로 내걸고 있다.

김 총장은 먼저 과거 ‘테스트베드 제주’에 대한 냉정한 성찰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제주에서는 40개 시범사업에 3450억원이 투입됐다”면서 “비즈니스와의 연계성이 있어야 했다. 기술적 타당성은 있는데 기업, 스타트업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연속성이 없었고 결국 지속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중요한 것은 사람이 만족해야 한다는 지속가능성”이라며 “기업의 참여로 비즈니스와 연결이 돼 지속가능성이 반드시 담보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가 제주 스마트시티와 관련해 거듭 ‘기업 참여’, ‘주민 참여’를 강조한 이유다.

IMG_2141.JPG
▲ 17일 열린 제3차 제주 스마트 이-밸리 포럼에서 김인환 디코리아 재단 사무총장이 발표하고 있다. ⓒ 제주의소리

그는 제주 스마트시티의 콘셉트를 공유, 개방, 분산 세 가지로 제안했다. 공유 안에는 주민참여, 도심재생, 사회적경제가 포함되고, 개방 안에는 지속가능한 개발, 신재생에너지 등 산업 경쟁력과 관련된 내용이 담겼다. 분산은 제도와 예산의 탄력적 운용, 혁신성장 등 특별자치도라는 지위에 초점이 맞춰졌다.

김 총장은 “실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게 포용”이라며 “이는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균형적 관계, 사회적 약자와 강자의 연계, 청년과 실버세대의 연계성 등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지역문제 해결에 대한 공감이 먼저 필요하다”는 말도 건넸다.

이어 “단순히 ‘스마트시티란 이런 것이구나’ 하는 3인칭 시점에서 벗어나 ‘나의 역할이 무엇인가’를 찾는 1인칭 시점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지방정부는 법과 제도와 예산의 지속화를, 연구기관과 대학은 인력양성과 프로젝트 발굴을, 기업들은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일자리 창출을, 시민사회는 지역현안문제 발굴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와 제주엔지니어연합회가 주최하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주지역본부가 후원하는 제주 스마트 이-밸리 포럼은 ‘더 스마트한 제주’ 구현을 지향하는 산학연관 관계자들의 모임으로 매월 셋째 주 금요일에 개최되고 있다.

IMG_2150.JPG
▲ 17일 열린 제3차 제주 스마트 이-밸리 포럼에서 김인환 디코리아 재단 사무총장이 발표하고 있다. ⓒ 제주의소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