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ame01.jpg
▲ 철거 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는 원명선원 유치원 건물.
10여년전 태풍 '나리' 내습 때 침수 피해를 입은 제주시 화북동 원명유치원 건물 철거를 놓고 불교계와 제주시가 공방을 벌이고 있다.

불교계는 원명유치원 등이 '무소유'의 법정스님을 비롯해 현대문학인을 배출한 문인들의 산실이자 불교문화유산인 만큼 철거가 부당하다는 입장인 반면 제주시는 이미 보상을 마무리한데다 재해위험이 상존하는 만큼 철거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제주불교연합회(회장 관효)는 11일 제주도내 일간지 광고를 통해 “제주불교문화유산 철거를 중지할 것을 촉구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냈다. 

불교연합회는 “근대 제주불교 건축문화 유산인 원명선원 유치원 건축물이 철거 위기에 놓였다. 현대식 건축이면서 무소유의 법정 스님을 비롯한 현대 문학인을 배출한 문인들의 산실이다. 조계종 전 종정 서옹대종사, 서암대종사는 물론 비룡, 일타, 지월, 도견, 숭산 스님 등 셀 수 없는 고승대덕 스님들의 수행처였던 불교의 거점”이라고 건물의 가치를 부각했다. 
KakaoTalk_20180611_151253673.jpg
▲ 제주불교연합회가 도내 일간지에 낸 성명서.

연합회는 “(그러나 제주도는)6월15일자로 제주시를 통해 행정대집행 계고장을 발부했다. 제주의 정신적인 불교문화요람을 강제 철거하기로 결정한 것이 불교문화재를 훼손시켜 제주불교의 정통성과 근거를 지워버리겠다는 속셈이 아니라면 즉각 중단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주불교문화유산 강제철거 집행을 강행한다면 제주불교와 더 나아가 한국불교는 사수를 위해 모든 조치를 강구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한 불상사는 제주도정에 책임이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회는 또 제주시 외도동 개인 사찰 수정사에서 보관했던 수정사지(址) 주춧돌이 도정의 무관심 속에 건축자재 골재로 들어가는 것을 불교계가 막아 제주도에 인계했지만, 지금은 어디로 사라졌는지 알 수 없다고도 주장했다. 

이에대해 제주시는 즉각 반박했다.  

제주시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2007년 9월 태풍 나리에 의해 원명사 법당, 유치원, 관리사 등이 침수됐다. 또 2008년 2월 원명선원 일대 31만㎡에 대해 침수위험지구 '다 등급'의 자연재해 위험개선지구로 지정됐다”고 철거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제주시는 2011년 5월, 원명선원 측이 요구한 원명유치원 토지와 건물 매입 요구를 받아들여 2014년 3월 해당 지구에 대한 보상비 20여억원을 지급했으며, 같은해 10월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사업 시행을 위한 건물철거·부지정리 등의 정비공사에 착수했다”고 덧붙였다. 

제주시는 “그러나 원명선원 측은 보상비 수령 이후 유치원 원아 졸업, 향토 문화유산지정 추진, 석가탄신일, 원명사 신축 등을 이유로 수차례 공사 연기를 요구했고, 제주시는 이를 수용해왔다"고 했다. 

또 원명선원 측이 요구한 공사 연기 사유가 해소된 2017년 10월까지 총 9차례에 걸쳐 이전 촉구를 했으나 이행하지 않자 이번에 6월15일까지 이전을 촉구하는 4차 계고를 했다는 게 제주시의 설명이다. 원명선원 측의 요구를 들어줄 만큼 들어줬다는 얘기다.  

특히 제주시는 연합회가 주장하듯 '불교탄압', '제주불교문화유산 철거'는 어불성설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재해 예방 차원에서 위험지구 개선사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제주시는 "수정사지 주춧돌이 사라졌다"는 주장에 대해선 “1999년부터 항몽유적지 잔디밭에서 관리되고 있다”고 반박하면서 현황 사진을 근거로 제시했다.
▲ 수정사 주춧돌이 항몽유적지 잔디밭에 관리되고 있다며 제주시가 제시한 사진.
Document-page-003.jpg
▲ 원명선원 유치원 등 이주촉구 조치사항. 제주시 제공.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